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외식업 수익률 계산표 공개 — 식당에서 진짜 돈이 남는 구조는 이것입니다 많은 사장님들이 “매출은 잘 나오는데, 왜 돈이 안 남을까?”라는 고민을 하십니다.오늘은 실제 식당 수익 구조를 예시로 들어, 외식업 수익률 계산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식당 수익률 계산 기본 구조구분비율(%)예시 금액 (월 매출 3,000만원 기준)매출100%3,000만원식자재비 (원가)35%1,050만원인건비25%750만원임대료10%300만원공과금·소모품5%150만원배달수수료·카드수수료5%150만원순이익20%600만원이 표에서 보듯이, 매출 3,000만원을 올려도 순이익은 약 600만원(20%) 정도입니다.원가율과 인건비 구조에 따라 순이익은 크게 달라집니다.2. 업종별 적정 원가율한식 / 분식 / 일반식당: 30~35%고기집 / 주점: 35~40%카페 / 디저트: 25~30%배달 전문점: 35~4.. 2025. 10. 16.
[외식업 창업 이야기] 직원 1명을 더 고용하려면 매출을 얼마나 더 올려야 할까? (실제 계산표 포함) 식당을 운영하다 보면 어느 순간 손님이 늘어나고, 사람을 한 명 더 써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용은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숫자의 문제입니다. 직원 1명 추가가 매출과 순이익 구조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외식업 인건비 비율을 바탕으로 실제 계산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직원 1명의 ‘실제 비용’은 월급만이 아니다월급이 250만 원이라고 가정해도, 4대보험, 식대, 야간수당, 퇴직금 적립 등을 포함하면 실제 부담은 월 300만 원 이상이 됩니다. 외식업에서는 이 금액이 곧 고정비로 누적되므로 인건비 비율 관점에서 매출 목표를 산정해야 합니다.인건비 비율로 계산해보기외식업 인건비 비율은 보통 매출의 25~3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직원 1명(월 300만 원)의 비용을 감당하려면 필.. 2025. 10. 14.
외식업 창업, 간판·파사드·배너가 매출을 바꾸는 순간: 비용 범위와 실전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타조왕입니다.외식업 창업에서 쉽게 놓치는 경우가 있느데요, 그건 바로바로 간판입니다! 예비창업자 여러분!간판과 파사드, 배너는 고객 유입과 브랜드 신뢰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비용 범위(해당 내용은 실제 비용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와 사례, 설계 체크리스트, 허가·유지보수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목차간판·파사드·배너가 중요한 이유설계 체크리스트국내 비용 범위와 간단 사례비용을 아끼면서 효과 내는 방법실행 단계 로드맵FAQ마무리1) 간판·파사드·배너가 중요한 이유고객은 음식을 맛보기 전, 외관으로 이미 판단을 합니다. 간판은 상권 속에서 위치 신호를 보내고, 파사드는 매장의 콘셉트를 설명하며, 배너는 시즌 메뉴와 이벤트를 즉시 알립니다. 외관이 정돈되어 있으면 검색 방문 고객.. 2025. 9. 30.
[서울하프마라톤] 미즈노 네오젠과 함께한 첫 하프 완주기. 왜 이 신발이었을까? 2024년 JTBC 10km 마라톤을 완주한 이후, 달리기는 어느새 제 일상의 일부가 되었습니다.그리고 그 다음 목표는 자연스럽게 하프 마라톤이었죠.이번 2025 서울하프마라톤은 저에게 첫 21km 도전이자, 서울 도심을 달린 첫 경험이기도 했습니다.그리고 대회 당일 함께한 러닝화는 미즈노 네오젠이었습니다.오늘은 그 이야기를 솔직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서울하프마라톤, 왜 이 대회를 선택했을까?서울하프마라톤은 러너라면 누구나 한 번쯤 도전해보고 싶은 대회입니다.서울 도심 도로를 직접 달릴 수 있는 기회는 흔하지 않기 때문이죠.접수 경쟁이 치열한 편이지만 다행히 성공했고, B그룹 배번을 받아 앞쪽에서 출발할 수 있었습니다.훈련은 3개월 전부터 꾸준히 했습니다. 주 2~3회 5~10km 러닝을 반복했고, 페이.. 2025. 8. 7.
[외식업, 이러면 망한다 3탄] SNS는 잘하는데, 매장은 왜 이래요?– 장사 망하는 사장의 3가지 착각 ✅ 목차서론 – 외식업, '겉'보다 '속'이 먼저입니다사장님이 ‘없는 가게’의 실체리뷰는 예쁜데, 왜 현장은 혼란스러울까?고객은 '경험'에 반응합니다매장의 '준비력'이 매출을 바꾼다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시스템, 어떻게 만들까?결론 – 리뷰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 신뢰’1. 서론 – 외식업, '겉'보다 '속'이 먼저입니다요즘 자영업 SNS를 보면 매장이 정말 멋져 보입니다.감성적인 인테리어, 세련된 메뉴판, 직원과 사장이 함께 찍은 즐거운 사진까지.하지만 막상 방문한 손님들이 이렇게 말합니다.“사진은 멋졌는데, 현장은 왜 이렇게 정신없죠?”“SNS에서 본 모습과 완전히 달라요.”외식업은 ‘겉보기’보다 ‘현장 경험’이 핵심입니다.사진이 아무리 예뻐도, 손님이 느끼는 감정은 결국 현장에서 결정됩니다.그리고 .. 2025. 6. 17.
[외식업, 이러면 망한다 2탄] SNS는 멋진데, 매장은 왜 이래요? – 리뷰와 현실이 다른 식당의 최후 안녕하세요, 타조왕입니다.오늘은 외식업 하시는 분들이 많이 빠지는 함정 중 하나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바로 ‘온라인에서는 멋져 보이는데, 실제 매장은 엉망인 가게들’입니다.📸 SNS만 보면 기대감 폭발, 그런데 막상 가보면…?요즘 외식업은 ‘SNS 콘텐츠’ 중심으로 마케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인스타그램, 유튜브, 블로그에 사진·영상 잘 찍어서 올리면사람들이 줄 서서 찾아올 것 같죠.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인스타그램에선 조명, 각도, 감성까지 완벽매장에 가보면 직원은 무뚝뚝하고, 테이블엔 물티슈도 없음메뉴 사진 보고 시켰는데 플레이팅도 안 돼 있고 맛도 평범 이런 매장은 결국 재방문율이 0%에 수렴합니다.🚨 리뷰와 실제 경험이 다르면, 고객은 ‘배신감’을 느낍니다고객은 이제 광고보다 다른 고객의 .. 2025.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