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식업과 창업 이야기

외식업 수익률 계산표 공개 — 식당에서 진짜 돈이 남는 구조는 이것입니다

by 타조왕 2025. 10. 16.

많은 사장님들이 “매출은 잘 나오는데, 왜 돈이 안 남을까?”라는 고민을 하십니다.
오늘은 실제 식당 수익 구조를 예시로 들어, 외식업 수익률 계산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식당 수익률 계산 기본 구조

구분 비율(%) 예시 금액 (월 매출 3,000만원 기준)
매출 100% 3,000만원
식자재비 (원가) 35% 1,050만원
인건비 25% 750만원
임대료 10% 300만원
공과금·소모품 5% 150만원
배달수수료·카드수수료 5% 150만원
순이익 20% 600만원

이 표에서 보듯이, 매출 3,000만원을 올려도 순이익은 약 600만원(20%) 정도입니다.
원가율과 인건비 구조에 따라 순이익은 크게 달라집니다.

2. 업종별 적정 원가율

  • 한식 / 분식 / 일반식당: 30~35%
  • 고기집 / 주점: 35~40%
  • 카페 / 디저트: 25~30%
  • 배달 전문점: 35~45%

원가율을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품질을 유지하면서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순이익을 높이는 실전 팁

  1. 메뉴별 마진율 분석: 판매 비중이 높은 메뉴의 마진을 2~3%만 올려도 총이익이 크게 개선됩니다.
  2. 식자재 재고관리 자동화: 재고낭비 10%만 줄여도 원가율이 2~3% 개선됩니다.
  3. 인건비 효율화: 시간대별 근무 스케줄을 최적화하면 고정비를 낮출 수 있습니다.
  4. 배달 수수료 줄이기: 자사 배달 유도, 픽업 이벤트 등으로 중개수수료 절감 가능.
  5. POS 데이터 활용: 매출·고객·시간대별 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적 운영.

4. 외식업 수익률 계산 예시

직접 계산해보고 싶다면, 아래 구조로 계산해보세요.

(매출 - 식자재비 - 인건비 - 임대료 - 기타비용) ÷ 매출 × 100 = 순이익률(%)

5. 결론

식당 운영의 핵심은 “매출이 아니라 남는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원가율·인건비·회전율이 맞물릴 때, 진짜 수익이 생깁니다.

👉 관련글 보기: 매출은 늘었는데 돈이 안 남는 이유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