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혹시나 좋은 정보를 알려드리려합니다. 이미 알고 계시고 많이들 사용하시지만 아직도 모르고 계시는분이 있으시다면 해당 글을 읽고서 바로 신청하시고 매달 교통비 환급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K-패스 신한카드로 월 1만 8000원 환급받는 방법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 혹시 아직 K-pass 카드 신청 안 하셨나요?
서울 기후동행카드는 들어보셨겠지만, 서울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서 아쉬우셨다면 K-pass 카드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K-pass 카드는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며, 매달 최대 1만 8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pass 카드 신청 방법부터 환급 방식, 금융사별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K-pass 카드란?
**K-pass(케이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 버스, 지하철, 광역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자라면 필수!
📌 환급 금액 예시
✔ 일반 이용자: 월평균 1만 8000원 환급
✔ 청년층(만 19~34세): 월평균 2만 원 환급
✔ 저소득층: 월평균 3만 7000원 환급
✔ 다자녀 가구(2자녀 30%, 3자녀 이상 50%)
서울 기후동행카드와의 차이점도 궁금하실 텐데요.
기후동행카드는 월 정액제(6만 5천 원)로 무제한 이용 가능하지만,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반면, K-pass 카드는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며, 이용 횟수에 따라 환급을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다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K-pass 카드 신청 방법
K-pass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K-pass 제휴 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K-pass 카드 신청 방법
1️⃣ K-pass 공식 누리집(korea-pass.kr) 접속
2️⃣ 본인 인증 후 카드 신청 페이지 이동
3️⃣ 제휴 카드사 선택 (신한, 국민, 우리, 하나, 농협 등)
4️⃣ 카드 신청 후 수령 & K-pass 앱에서 등록
5️⃣ 대중교통 이용 후 자동 환급 적용
📌 K-pass 카드 신청 가능 카드사 (2025년 기준)
✔ 신한카드
✔ 국민카드(KB)
✔ 우리카드
✔ 하나카드
✔ NH농협카드
카드사별 환급 방식 차이 주의!
K-pass는 모든 카드사에서 신청 가능하지만, 환급 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마다 환급 시기, 적립 방식, 추가 혜택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 신한카드: 대중교통 이용 금액에 따라 다음 달 카드 청구금액에서 차감
- 국민카드(KB): 이용금액 일정 비율을 포인트로 적립 후 차감
- 우리카드: 환급액을 별도 캐시백 형태로 입금
이처럼 어떤 카드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실제 환급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pass 카드, 왜 추천할까?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면 자동 환급
✅ 청년·저소득층·다자녀 가구 추가 지원
✅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
✅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환급 방식이라 부담 없음
✅ 지자체별 추가 혜택 (경기, 인천, 부산 등 맞춤형 K-pass 도입 중)
K-pass 카드 신청, 지금 안하면 손해!
✔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필수!
✔ K-pass 신한카드 등 제휴 카드 발급 후 자동 환급!
✔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든 혜택 가능!
아직 K-pass 카드 신청 안 하셨다면,
👉 🔗 K-pass 카드 신청 바로 가기
교통비 절약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